아... 이번 주(11/8) 미국 증시,
정말 '피바다'였습니다. 😭
제 계좌도 파랗게 질려서
며칠 밥맛도 없었네요... (하...)
"AI 버블 터지나?"
이 공포 하나로 나스닥이 -3.1% 빠졌습니다.
(S&P500 -1.6%, 다우 -1.2%)
특히 그동안 믿었던 AI 주식들이...
- 팔란티어: -11.2% (마이클 버리 하락 베팅 ㄷㄷ)
- 테슬라: -5.9% (주총 끝나니 재료 소멸?)
- 엔비디아/AMD: (중국 규제로 동반 하락...)
"아... 이번 달은 망했다..."
하고 S&P 500 계좌(-1.6%)를 끄고,
원화(KRW) 계좌를 딱 열어봤는데...
...? 아니, +0.3%?? 😲
주식이 빠졌는데... 왜 내 돈은 '복사'가 됐죠?
버그인 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비밀은 바로...
미친 듯이 치솟은 '환율 1,458원'이었습니다.
🔥 '환율 1458원' 방어막의 비밀 (실제 계좌)
• S&P 500 (주식): -1.6% (폭망 😭)
• 원/달러 환율: +1.9% (폭등 📈)
= 내 원화(KRW) 환산 계좌: +0.3% (방어 성공!)
(환율이 주가 하락을 다 막아주고도 남았다는 뜻 ㄷㄷ)
['나스닥 -3.1%' 파란색 하락 그래프와 '환율 1458원' 빨간색 상승 그래프가 교차하며 '내 계좌 +0.3%'를 지켜주는 이미지]

"환율 1,458원이면...
지금 환전하는 거 정말 미친 짓 아니야?"
이 고민 때문에 AI 버블보다
더 머리 아픈 분들을 위해,
오늘 '주간 브리핑'에서는
이 지옥 같은 하락장에서 내 계좌를 지켜준
'환율 1,458원의 의미'와 '테슬라 주총 찐후기'까지
싹 다 정리해 드릴게요! (빈이아빠 믿고 따라오세요!)
#투자 유의사항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결정 및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실제 상품의 구성·보수·분배 일정·과세는 운용사/금융기관의 최신 공시를 우선 확인하세요.
<1> "주식은 -1.6%인데, 계좌는 +0.3%?" (마법의 비밀)
아... 이번 주(11/8) 진짜 '피바다'였죠.
나스닥이 -3.1%, S&P 500이 -1.6%...
모든 자산이 다 빠졌습니다. (심지어 채권도 -0.8%)
"AI 거품론", "과잉 투자다"
이런 불신이 터지면서 반도체 섹터가 박살 났고,
- 팔란티어: -11.2% (실적은 좋았는데... '빅쇼트' 마이클 버리가 하락 베팅했단 소식에 ㄷㄷ)
- 테슬라: -5.9% (주총 통과되니 '재료 소멸'...)
- 엔비디아/AMD: (중국 규제로 동반 하락 ㅠㅠ)
저도 S&P 500(-1.6%) 계좌를 보고
"아... 망했다..." 했는데,
혹시나 해서 '원화(KRW) 환산' 계좌를 눌러보니...
"수익률 +0.3%"
...? 😲
주식은 마이너스인데, 내 돈은 '복사'가 된 거죠.
이 마법의 정체는 바로 '미친 환율'이었습니다.
• 내 주식(S&P 500): -1.6% 하락
• 내 현금(달러) 가치: +1.9% 상승 (환율 1,458원!)
'환율'이 주식 하락분을 다 막아주고도
오히려 0.3% 수익을 내준 겁니다. (소름...)
이게 달러 투자의 '환율 방어막' 효과죠.
<2> "환율 1,458원... 지금 환전하면 미친 짓?" (팩트 체크)
"아니, 근데 1,458원이면 환전하기
너무 부담스럽잖아요!" (맞음... 비싸긴 함)
지금 환율이 이렇게 높은 이유는 2가지입니다.
1. 금리차: 한국(2.5%) < 미국(4.0%) (달러가 더 비쌈)
2. 외국인 자본 유출: 코스피가 64.8%나 올라서
외국인들이 "익절!"하고 달러로 환전해서 튀튀...
그럼 1,458원에 환전하는 건 '미친 짓'일까요?
2022년 '최고점(1,445원)'에 환전한
'상투 잡은 흑우'의 결과를 보여드릴게요. (충격 주의)
🔥 2022년 '1,445원 최고점'에 환전했다면?
만약 2022년 10월, '최악의 고점' 1,445원에 환전해서
나스닥(TQQQ 아님, 1 배수)을 샀다고 칩시다.
- 환율 손해: 1,445원 → 1,330원 (약 -7.9%) 😭
- 나스닥 수익: +65% (압승!)
- S&P 500 수익: +41% (압승!)
결론: 환율 손해(-7.9%)보다
주식 상승폭(65%)이 그냥 '압살'했습니다.
['나스닥(+65%)'의 거대한 상승 그래프와 '환율(-7.9%)'의 작은 하락 그래프를 비교하는 인포그래픽]

결론: 환율 타이밍 잡으려 하지 마라!
환율이 1,458원이든 1,500원이든,
내가 사려는 기업(엔비디아, 테슬라 등)의 '본질'이
지금 '저평가'되었다면 투자하는 게 맞습니다.
(매달 꾸준히 환전하면 어차피
평균 환율(약 1,227원)에 수렴하게 됨!)
<3> 서학개미는 '줍줍'했다 (메타, 레버리지)
저는 -3.1% 하락에 졸아서 벌벌 떨었는데...
역시 '서학개미' 형님들은 용감했습니다.
이 폭락을 '기회'로 보고
지난주보다 1조 원이나 더 '순매수'했습니다 ㄷㄷ
"대체 뭘 샀는데요?"
1위: 메타 (Meta)
(고점 대비 -20% 넘게 빠지자 '이때다!' 하고 풀매수...)
2위: 레버리지 상품 (TQQQ, SOXL 등)
(하락장에서 레버리지라니... 상남자들...)
반면, 하락장에서 방어력을 보여준 섹터도 있었죠.
- 에너지: +1.5% (유일하게 상승!)
- SCHD (배당 ETF): 보합 (역시 배당주!)
<4> 테슬라 주총 찐후기 (옵티머스 & 로보택시)
주가는 -5.9% 빠졌지만,
테슬라 주주총회에서는
머스크의 '1조 달러 보상안'이 통과됐습니다.
(사실 이건 다들 예상했던 거라 '재료 소멸'로 빠진 거)
진짜 핵심 비전은 '이 2개'였습니다.
✅ 테슬라의 '진짜 미래' (주총 핵심)
- 1.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휴대폰 시장보다 더 큰 시장이 될 거다!" (머스크 자신감 ㄷㄷ)
- 2. 로보택시 (자율주행)
2026년 4월 생산 시작! (XAI 탑재 예정)
(이게 진짜 테슬라의 '핵심'이죠)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이 '로보택시' 운전석에 앉아있는 상상도]

(아! 그리고 '스페이스 X' 투자법도 나왔죠?
일반인은 직접 투자 못하지만,
유일하게 '스페이스 X'를 8.8% 담고 있는
'XOVR' ETF가 있다고 합니다. (1위는 엔비디아 ㄷㄷ))
💡 "AI 버블 vs 아직 정점 아님" (찰리 멍거의 명언)
"아... 그래서 지금이 '버블'이라는 거임, 아니라는 거임?"
솔직히 팔란티어가 하루에 -11.2% 빠지는 걸 보면
'버블' 공포가 안 생길 수가 없죠.
(마이클 버리가 숏 쳤다는 소식은 진짜...)
그런데, 반대 의견도 팽팽합니다.
Q1. 지금이 '닷컴 버블' 정점 아닌가요?
A. "아직 멀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 2000년 IT 닷컴 버블: 나스닥 +795% 상승
- 2025년 AI 버블(?): 나스닥 +512% 상승
만약 AI가 '인터넷'보다 더 강력한 혁명이라면,
아직 '거품의 정점'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죠.
Q2. (속보) P&G 라이벌 등장? 킨벌리 클라크 + 켐보이 합병!
A. 뜬금없지만, 하락장 속 '빅딜'도 나왔습니다.
'유한킴벌리'로 유명한 '킨벌리 클라크'가
존슨 앤 존슨에서 분사한 '켐비오'를 인수했습니다.
(무려 프리미엄 46% 줌 ㄷㄷ)
이 둘이 합병하면,
P&G 다음으로 큰 '글로벌 건강 웰빙' 강자가
탄생한다고 하네요. (이것도 장기 투자로 지켜볼 만함)
['킨벌리 클라크'와 '켐비오' 로고가 합쳐져 'P&G'와 맞서는 이미지]

Q3. 하락장에 '개미'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
A. "기다림."
우리의 '찰리 멍거' 할아버지가 하신
명언으로 마무리해야겠네요.
🌟 찰리 멍거의 명언 (하락장 필독)
"큰돈은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기다림(Waiting)'에서 벌린다."
- 빈이아빠 해석: 나스닥 -3.1% 빠졌다고
'패닉 셀'하는 게 아니라, '깊은 기다림'을
습관처럼 가져야 한다는 뜻! (1조 줍줍 한 형님들처럼...)
✅ 환율 1,458원... "환전 타이밍 잡지 마라!"
오늘 '피바다' 장세, 다들 멘붕이셨죠?
나스닥 -3.1%, 팔란티어 -11.2%...
정말 무서운 한 주였습니다.
하지만 오늘 '찐' 교훈은 따로 있었죠.
주식(S&P 500)이 -1.6% 빠졌는데,
환율(달러 가치)이 +1.9% 올라서
내 원화(KRW) 계좌는 +0.3% '수익'이 났다는 거!
이게 바로 '환율 1,458원'의 무서운 '방어막'이었습니다.
"환율 너무 높아서 환전 못 하겠다"는 고민.
오늘의 결론으로 답을 드립니다.
"환율 타이밍 잡으려 하지 마세요!"
2022년 최고점(1,445원)에 환전했어도,
환율 손해(-7.9%)보다
나스닥 수익(+65%)이 그냥 '압살'했습니다.
하락장에 1조 줍줍한 서학개미 형님들처럼,
우리는 '찰리 멍거' 할아버지의
명언을 기억해야 합니다.
🔥 하락장, 멍거의 명언
"큰돈은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기다림(Waiting)'에서 벌린다."
환율에 졸지 말고,
'저평가된 기업'의 본질에 집중하며
'깊은 기다림'을 실천할 때입니다.
#투자 유의사항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결정 및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실제 상품의 구성·보수·분배 일정·과세는 운용사/금융기관의 최신 공시를 우선 확인하세요.
#해시태그모음
#환율 1450원 #환율방어 #미국주식하락 #나스닥하락 #환전전략 #엔비디아하락 #테슬라주총 #마이클 버리 #팔란티어 #SCHD #AI버블 #찰리멍거 #XOV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