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금저축 세액공제 안 받은 금액, 받은 금액 관리! '세공 vs 안세공' 구분하고 세금 0원 받기

by 빈이 아빠 2025. 11. 22.
반응형

아... 님들, '빈이아빠'입니다.
저 오늘 연금 계좌 정리하다가 소름 돋았음 ㄷㄷ



저는 노후 준비한다고
연금저축에 세액공제 한도(600만 원) 꽉 채우고도
남는 돈 더 넣고 있었거든요?



"많이 넣으면 나중에 연금 많이 받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증권사는 제가 더 넣은 돈이
'세액공제 안 받은 돈(안 세공)'인지 모른다는 겁니다!

(네? 그럼 내 돈은요? 😱)



그냥 놔두면 나중에 연금 받을 때
세금 안 내도 될 돈까지 싹 다 합쳐서
'연금소득세(3.3~5.5%)'를 떼간다는 충격적인 사실...




🔥 '안세공' 꼬리표를 달아라!

세액공제받지 않은 원금(안 세공)은
나중에 꺼내 쓸 때 '세금 0원(비과세)'입니다.
심지어 연금 수령 한도(1,500만 원)에도 포함 안 됨!


하지만 이 혜택을 챙기려면
우리가 직접 '국세청 서류'를 떼서
증권사에 신고(꼬리표 달기)를 해야 합니다.



['세금 폭탄'을 맞고 울상인 연금 수령자와, '안 세공 확인서'라는 방패로 세금을 막아내고 웃는 '빈이아빠'의 모습]

'세금 폭탄'을 맞고 울상인 연금 수령자와, '안세공 확인서'라는 방패로 세금을 막아내고 웃는 '빈이아빠'의 모습

 

"아... 귀찮은데 나중에 하면 안 되나?"
됩니다! 근데 까먹으면 진짜 큰일 납니다.



오늘 '빈이아빠'가
억울한 세금 피하는 '세공 vs 안 세공' 구분법
'홈택스 서류' 딱 1장으로 해결하는 꿀팁까지
싹 다! 정리해 드릴게요. (이거 저장 필수!)



#필수 확인 사항

※ 본 글은 연금저축/IRP 세금 제도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이며, 세법 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세액 공제 내역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증권사는 님 돈을 모릅니다" (세공 vs 안 세공)

 

자, 일단 용어부터 정리하고 갈게요.
이거 헷갈리면 나중에 머리 터짐.



• 세공 (세액공제받은 돈):
연말정산 때 세금 혜택(13.2% or 16.5%) 받은 돈.
→ 나중에 연금 받을 때 '연금소득세(3.3~5.5%)' 내야 함. (당연함)



• 안 세공 (세액공제 안 받은 돈):
한도(600~900만 원) 초과해서 더 넣은 돈.
→ 혜택 안 받았으니 나중에 뺄 때 '세금 0원(비과세)'이어야 함. (당연함)



근데 문제는...
증권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님이 넣은 돈은 다 '세공'이겠지?" 하고
세팅되어 있다는 거임! 😱



그래서 우리가 직접
"이건 혜택 안 받은 돈이야!" 하고
'꼬리표'를 달아줘야 세금을 안 뗍니다.



🔥 '안 세공' 꼬리표가 중요한 이유

1. 세금 0원: 뺄 때 세금 한 푼도 안 냄.
2. 한도 무제한: 사적연금 연간 수령 한도(1,500만 원)
계산할 때 '제외'됨. (맘껏 뽑아 써도 됨!)


(이거 안 해놓으면 1,500만 원 넘어서
종합소득세 폭탄 맞을 수도 있음 ㄷㄷ)



['세공(과세)' 박스와 '안 세공(비과세)' 박스가 섞여 있는 연금 바구니에서 '안세공'만 쏙 골라내는 이미지]

'세공(과세)' 박스와 '안세공(비과세)' 박스가 섞여 있는 연금 바구니에서 '안세공'만 쏙 골라내는 이미지


<2> [실전] 홈택스 서류 한 장으로 '꼬리표' 달기

 

"아... 복잡해... 그럼 어떻게 해야 함?"
딱 '서류 한 장'이면 됩니다.



바로 국세청 홈택스에 있는
'연금 보험료 등 소득·세액공제 확인서'입니다.



여기에 내가 그동안
얼마나 공제받았고, 얼마나 안 받았는지
다~ 적혀 있거든요.



📄 꼬리표 달기 3단계 (초간단)

  • 1단계: 홈택스 로그인 → '연금 보험료 등 소득·세액공제 확인서' 발급
  • 2단계: 내 연금 계좌가 있는 증권사(금융사) 방문 (또는 앱 제출)
  • 3단계: "이거 보고 '안세공' 금액 확정해 주세요(꼬리표 달아주세요)!" 요청



"이거 매년 해야 함?"
ㄴㄴ! 연금 받기 '직전'에 한 번만 하면 됨!



(지금 미리 할 필요 없음.
나중에 은퇴하고 연금 개시 신청할 때
그때 몰아서 한 방에 처리하면 됨. 꿀이죠? ㅋ)




<3> IRP는 조심! '섞어찌개' 인출 순서

 

연금저축은 그나마 쉬운데,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좀 더 복잡합니다.
(퇴직금까지 섞여 있어서... 머리 아픔 ㅠㅠ)



IRP 안에는 돈이 4가지나 섞여 있습니다.
① 안세공 원금 (내 돈)
② 퇴직금 (회사 돈)
③ 세공 원금 (혜택 받은 내 돈)
④ 수익금 (이자/배당)



나중에 연금 받을 때,
어떤 돈부터 빠져나가는지 아시나요?



📊 IRP 인출 순서 (세금 적은 순!)

순서 자금 종류 세금 (Tax)
1순위 안세공 원금 0원 (비과세)
2순위 퇴직금 퇴직소득세 (30~40% 할인)
3순위 세공 원금 + 수익금 연금소득세 (3.3~5.5%)

 

다행히 시스템이 똑똑해서
'세금 안 내는 돈(안 세공)'부터 먼저 꺼내줍니다.
(오... 칭찬해 👏)



단! 이것도 우리가 '서류 제출'해서
'꼬리표'를 달아놨을 때만 가능하다는 거!
(안 그러면 3순위 세금 뗄 수도 있음 ㄷㄷ)



[IRP 계좌라는 자판기에서 1번(안 세공) 버튼을 누르니 '세금 0원' 음료수가 나오는 이미지]

IRP 계좌라는 자판기에서 1번(안세공) 버튼을 누르니 '세금 0원' 음료수가 나오는 이미지


💡  "계좌를 2개 만들까?" (분리 vs 혼합 관리) 

 

"아... 나중에 서류 내는 거 귀찮은데...
애초에 계좌를 2개 만들면 안 됨?"



(오... 님 좀 천재인 듯? ㅋㅋ)
실제로 이렇게 관리하는 '고수'분들도 있습니다.



1. 분리 관리 (계좌 2개 쓰기)

- A 계좌: 딱 세액공제 한도(600/900만)까지만 입금.
- B 계좌: 초과 납입금(안 세공)만 입금.



[장점] 나중에 B 계좌에서 돈 뺄 때,
증권사에 서류 낼 필요 없이
"이거 다 안세공 돈임!" 하고 바로 인출 가능. (편함)



[단점] 계좌 2개 관리하기 귀찮음.
(어디에 얼마나 넣었지? 헷갈림)



2. 혼합 관리 (계좌 1개 쓰기)

- 그냥 한 계좌에 다 때려 넣음.



[장점] 지금 당장 편함.
[단점] 나중에 연금 받을 때
'홈택스 서류' 떼서 증권사에 '정산' 받아야 함.



✅ '빈이아빠'의 추천 (귀차니즘 극복)

저는 그냥 '혼합 관리(1개)' 추천합니다.
(계좌 많으면 관리 안 됨 ㅠㅠ)


어차피 연금 받으려면 최소 55세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그때 가서 '서류 한 장' 떼는 게 낫지,
평생 계좌 2개 관리하는 게 더 힘듭니다 ㅋ





✅ "세금 0원" 연금, 아는 만큼 챙깁니다! (찐 결론)

 

아... 오늘 '빈이아빠'가
연금 계좌의 숨겨진 함정, '안 세공'에 대해
싹 다 정리해 드렸습니다.



솔직히...
"내가 낸 돈 내가 돌려받는데,
말 안 하면 세금 떼간다"니... 좀 억울하죠? 😭



하지만 오늘 배운 '홈택스 서류 한 장'이면
내 소중한 원금을
'세금 0원(비과세)'으로 지킬 수 있습니다.



특히 ISA 만기 자금을 연금으로 넘기신 분들!
(이전 금액의 10% 공제받고 남은 90%는 '안 세공'임!)



이 돈은 나중에 연금 한도(1,500만 원) 상관없이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니까,
절대 까먹지 말고 꼭! 챙기세요.



🔥 빈이아빠의 최종 당부

"지금 당장 서류 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연금 개시 신청' 버튼 누르기 직전!
반드시 '소득·세액공제 확인서'를 제출해서
내 돈에 '비과세 꼬리표'를 달아주세요!"



그때 가서 "아 맞다, 빈이아빠가 그랬지!" 하고
기억나신다면, 저는 그걸로 만족합니다. ㅋㅋ



여러분의 든든하고 '세금 없는' 노후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은퇴한 '빈이아빠'가 한 손엔 '연금 통장', 한 손엔 '세금 0원' 깃발을 들고 환하게 웃는 모습]

은퇴한 '빈이아빠'가 한 손엔 '연금 통장', 한 손엔 '세금 0원' 깃발을 들고 환하게 웃는 모습

#세무 정보 유의사항

※ 본 글은 일반적인 연금 세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개별 상황에 따라 세금 부과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세무 상담은 국세청이나 세무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해시태그모음

#연금저축세액공제 #연금저축인출 #안 세공 #세액공제 안 받은 금액 #IRP인출순서 #연금소득세 #비과세인출 #홈택스서류 #연금계좌관리 #ISA연금전환 #노후준비 #절세꿀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