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CHD ETF[성장배당]에 2억 넣었더니..." 4년 차 배당 투자자가 '성장주' 60% 섞은 이유

by 빈이 아빠 2025. 11. 12.
반응형

"노동 없이 월 100만 원!"
... 이거 모든 직장인의 '꿈의 월급' 아닌가요? 



저도 이 '두 번째 월급' 하나만 보고,
4년 전부터 '미국 배당주(SCHD)'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솔직히 2022년 그 지옥 같은 폭락장...
계좌는 -20% 박살 나도
꼬박꼬박 달러 배당금(1,500만 원!) 찍히는 거 보면서
버텼습니다. (이게 진짜 '심리적 보상'임 😭) 



"아... 이래서 다들 '배당' 하는구나..."
전 진짜 배당 투자가 '정답'인 줄 알았어요.



...'AI 붐'이 터지기 전까지는요.



엔비디아, AI, 반도체가 미친 듯이 날아갈 때,
제 SCHD는 제자리걸음인 걸 보면서...
'포모(FOMO)'가 오기 시작했습니다.



"배당금 받아서 좋은데...
뭔가 나만 '성장'에서 소외되는 기분?" (아... 😫)



그래서 4년 만에 포트폴리오를 '확' 바꿨습니다.
'배당주 100%' 전략을 버린 거죠.




🔥 빈이아빠의 '4년 차' 최종 포트폴리오

이 '포모(FOMO)'를 막고 '안정감'도 챙기기 위해...
- 배당주 (SCHD): 40% (현재의 현금 흐름)
- 성장주 (S&P500/QQQM): 60% (미래의 부)
이 '바벨 전략'으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SCHD(40%)'와 'S&P 500/QQQM(60%)'이 황금 비율로 나눠진 포트폴리오 파이 차트]

'SCHD(40%)'와 'S&P 500/QQQM(60%)'이 황금 비율로 나눠진 포트폴리오 파이 차트

 

'배당 투자자'라면서 왜 '성장주' 60%냐고요?
"월 100만 원" 현금 흐름보다
'이것'이 더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제가 4년간 2억 굴려가며
(지방 아파트도 팔아서 SCHD 샀음 ㄷㄷ)
피눈물로 깨달은 '5가지 쭌이유'를
싹 다 풀어드릴게요! (이건 진짜 꿀팁임...)



#투자 유의사항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결정 및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실제 상품의 구성·보수·분배 일정·과세는 운용사/금융기관의 최신 공시를 우선 확인하세요.

 


<1> 깨달음 ①: 배당금은 '심리적 보상'이다 (폭락장 버팀목)

 

와... 2022년 고금리 쇼크...
다들 기억하시죠? ㅠㅠ
제 계좌도 그때 -20% 넘게 박살 났습니다.



솔직히 '패닉 셀' 버튼 누르기 직전이었는데,
그때! 통장에 '달러'가 꽂히는 거임. 💸



"아... 배당금 들어왔네?"



주식은 떨어져도 배당금(작년 1,500만 원!)은
계속 찍히는 이 경험.
이게 투자자가 시장을 '버티게' 만드는
가장 큰 힘(심리적 보상)이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 주식 계좌(-20% 파란불)와 입금 알림(+$100 배당금)이 동시에 뜬 모습]

스마트폰 화면. 주식 계좌(-20% 파란불)와 입금 알림(+$100 배당금)이 동시에 뜬 모습

 

심지어 "작년에 1,500만 원 받았으니,
올해는 2,000만 원 받겠다!" (예측 가능성)
이 기대감 하나가 '오늘의 소비'를 줄이게 만들더라고요.



1년 배당 200만 원?
은행 예금 2억 원 넣어둔 이자랑 비슷함. [참고]
이게 '현실적인 자신감'을 줍니다.




<2> 깨달음 ②: '부동산 갭투자'보다 100배 낫다 (세금/효율)

 

이건 100% 제 '경험담'임.



제가 4년 전에 갭투자로
지방 아파트 하나를 샀거든요?



근데... 시세는 그대로지,
세입자 관리, 수리 스트레스,
양도세, 종부세... 아오... 🤯



"이거 아니다" 싶어서,
2년 전에 약 2억 원에 팔아치우고
그 돈 싹 다! 'SCHD'에 넣었습니다.



결과가 어땠냐고요?



📊 [충격] 지방 아파트 vs SCHD (2년 누적 수익률 비교)

구분 지방 아파트 (2억) SCHD (2억)
누적 수익 거의 0% (시세 정체) +21% (압승!)
유동성 꽝 (안 팔림) 최상 (1초 컷)
세금/스트레스 양도세/종부세/수리비 (MAX) 배당세 15.4% (ISA로 0원!)

 

이거 보고 '현타' 빡 왔습니다.
부동산은 세금 덩어리인데,
배당주는 ISA, 연금저축, IRP 계좌로 굴리면
세금 및 건보료 부담까지 피할 수 있으니...



직장인에겐 '주식'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부동산(무거움)'과 'SCHD(가벼움)'가 그려진 시소에서 SCHD가 압도적으로 올라가 있는(수익률) 이미지]

'부동산(무거움)'과 'SCHD(가벼움)'가 그려진 시소에서 SCHD가 압도적으로 올라가 있는(수익률) 이미지


<3> 깨달음 ③: '정서적 안정감' (월 100만 원의 힘)

 

솔직히 우리 직장인들... 쫄 리잖아요?
"AI가 내 일 뺏는 거 아냐?"
"회사 10년 뒤에도 있을까?"



이 불안감을 잠재워 준 게 '배당금'이었습니다.
'노동 없이' 들어오는 '두 번째 월급'이니까요.



딱 3억 원 자산에 4% 배당률이면,
연 1,200만 원, 월 100만 원이
'숨만 쉬어도' 들어옵니다.



"급여 외에 두 번째 월급이 있다는 것은
직장 스트레스를 견디게 하는 버팀목이자,
싫은 일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자율성'을
확보해 줍니다." 

 

(이 '정서적 안정감' 하나만으로
배당 투자는 할 가치가 있음. 찐임.)




<4> 깨달음 ④: '복리 위의 복리' (배당 재투자의 마법)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
... 이거 다들 말은 하는데, 체감은 잘 안되죠?



배당 투자가 이걸 '눈'으로 보여줍니다.



처음엔 배당금 들어와 봐야
'커피 한 잔 값'이었음. ☕
근데 이 배당금을 100% '재투자'했더니...



배당금 (스노볼) → SCHD 주식 몇 주 '추가 매수' →
다음 분기 '더 많은 배당금' → 더 많은 '추가 매수'...



이게 '복리 위의 복리' 효과입니다.
주가 상승(복리) + 배당금 재투자(복리)가
합쳐져서, '돈이 나 대신 일하는 구조'가
완성되는 거죠.



[작은 배당금(달러) 눈덩이가 '재투자' 경사면을 굴러 내려오며 거대한 스노볼이 되는 이미지]

작은 배당금(달러) 눈덩이가 '재투자' 경사면을 굴러 내려오며 거대한 스노우볼이 되는 이미지


💡 <5> 깨달음 ⑤: '배당 100%'는 틀렸다! (FOMO 방지)

 

자, 그럼 4년 차 '배당 투자자'인 내가
왜 '성장주 60%'를 섞었냐?
(이게 오늘의 '추가 소섹션'이자 핵심임!)



결론부터 말하면,
바로 '포모(FOMO)' 때문이었습니다. 😫 



AI 붐 터지고 엔비디아, 반도체 날아가는데...
제 'SCHD' 계좌만 파란불 켜지거나
제자리걸음하는 걸 보니까...
진짜 멘털이 깨질 뻔했습니다 ㅠㅠ



"아... 배당금이고 나발이고...
성장주 샀으면 지금 2배인데...!"



깨달았습니다.
배당주 100%는 '안정감'은 주지만,
'미래의 부(성장)'에서 소외되는
'포모'를 막을 수 없다는 걸요.



그래서 4년간의 고민 끝에
'바벨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확' 바꿨습니다.



🔥 4년 차 '최종 포트폴리오' (40:60 바벨 전략)

1. 배당 (40%): SCHD 등
'현재의 현금 흐름' (월 100만 원)
→ '정서적 안정감' (내 버팀목 😭)


2. 성장 (60%): S&P 500 (VOO) / 나스닥 (QQQM)
'미래의 부' (총 자산 성장)
→ '포모(FOMO) 방지' (나도 AI 탔다!)


['배당(40%)'과 '성장(60%)'이 균형을 이룬 바벨(Barbell) 또는 시소(Seesaw) 이미지]

'배당(40%)'과 '성장(60%)'이 균형을 이룬 바벨(Barbell) 또는 시소(Seesaw) 이미지

 

배당주(SCHD)로 '현재의 현금 흐름'과
'심리적 안정감'을 꽉 잡고,



성장주(S&P 500, QQQM)로
'미래의 큰 부'와 '시장의 성장(포모 방지)'을
동시에 챙겨가는 겁니다.



이 '균형'이야말로 4년간 굴려본
직장인의 '최강 전략'이었습니다.



✅ 빈이아빠의 Q&A (체크리스트)

    • Q1. 왜 QQQ 아니고 QQQM임?
      QQQM이 수수료가 더 쌈! (0.15%)
      (장기 투자자는 0.01%도 아껴야 됨)

    • Q2. 40:60 비율은 고정임?
      → NO! 나이/성향 따라 다름.
      (50대/안정형: 배당 70% + 성장 30%)
      (30대/공격형: 배당 30% + 성장 70%)

  • Q3. 부동산 vs 배당주, 최종 승자는?
    → '세금'과 '스트레스' 생각하면...
    'ISA/연금 계좌'로 굴리는 배당주가
    직장인에겐 '압도적'으로 편하고 효율적임. (내 4년 경험담 ㅠㅠ)





✅ 4년 차 결론: '배당 100%'는 정답이 아니었다

 

자, 오늘 '빈이아빠'가 4년간 2억 굴려가며 겪은
5가지 '찐' 깨달음, 싹 다 정리해 봤습니다.



결론은 아주 명확했습니다.
1. (심리적 보상) 2022년 폭락장, '배당금' 덕분에 버텼고,
2. (효율성) '부동산' 팔아서 SCHD 산 게 '신의 한 수'였고,
3. (안정감) '월 100만 원' 현금 흐름은 '정서적 안정감'을 줬죠.



여기까지만 보면 '배당 100%'가 맞는 것 같죠?



하지만 5번째 깨달음이 결정적이었습니다.



AI 붐 터지는데 내 'SCHD'만 멈춰있으니...
'포모(FOMO)'가 와서 멘털이 깨지더라고요. 😫



'배당 100%'도, '성장 100%'도
직장인에겐 '정답'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4년 차 '빈이아빠'가 찾은
'직장인 최적의 황금 비율'은 바로...



🔥 4년 차 '찐' 최종 전략 (바벨 전략)

1. 배당 (40%): 현재의 현금 흐름 (안정감)
(폭락장 버팀목 + 월 100만 원 파이프라인)


2. 성장 (60%): 미래의 총 자산 (포모 방지)
(S&P 500 / QQQM 등으로 시장 성장 그대로 먹기)



배당주(SCHD)로 '현재의 현금 흐름'과
'심리적 안정감(방패)'을 꽉 잡고,



성장주(QQQM 등)로 '미래의 큰 부'와
'시장의 성장(창)'을 동시에 챙기는
이 '바벨 전략'이야말로...



4년간 굴려본 직장인 재테크의
가장 강력한 '완성형' 전략이었습니다! 🚀



['배당 40%(방패)'와 '성장 60%(창)'을 양손에 든 투자자(빈이아빠)의 든든한 모습]

'배당 40%(방패)'와 '성장 60%(창)'을 양손에 든 투자자(빈이아빠)의 든든한 모습

#투자 유의사항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결정 및 손익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실제 상품의 구성·보수·분배 일정·과세는 운용사/금융기관의 최신 공시를 우선 확인하세요.

 

#해시태그모음

#미국배당주 #직장인재테크 #SCHD #배당성장포트폴리오 #40대 60 전략 #포모방지 #FOMO #S&P500 #QQQM #배당금 재투자 #월 100만 원 #두 번째 월급 #바벨전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