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초연금, 나는 받을 수 있을까? 5분 만에 끝내는 모의계산 방법!

by 빈이 아빠 2025. 10. 18.
반응형

따뜻한 햇살 아래서 여유롭게 차를 마시는 노부부의 뒷모습



혹시 '나는 소득이랑 재산이 좀 있어서
기초연금은 해당 안 되겠지?' 하고
미리 포기하고 계셨나요?

실제로 매년 수십만 명의 어르신들이
'나는 안 될 거야'라는 오해 때문에
월 33만 원이 넘는 혜택을 놓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2025년에는 수급 기준이 더 완화될 예정이라,
작년에 아슬아슬하게 탈락했던 분들이라면
올해는 꼭 다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기초연금, '미리 포기'가 가장 큰 손해인 이유

내 소득과 재산을 그대로 계산하는 게 아니에요!
각종 공제(기본, 부채, 지역별 등)를 빼고 계산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일단 확인조차 안 해보는 것이 가장 큰 손해인 셈이죠.

 

스마트폰으로 기초연금 모의계산 결과를 확인하고 미소 짓는 60대 여성



사실 저도 저희 부모님 신청을 처음 도와드릴 때
'소득인정액'이니 '재산 공제'니 하는
어려운 용어들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렸거든요.

그래서 복잡한 설명은 싹 뺐습니다.

이 글 하나만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5분 안에
'내가 기초연금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매달 얼마를 받게 되는지'까지
속 시원하게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1. 딱 2가지만 기억하세요: 나이와 소득

기초연금 수급자격, 사실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어요.
핵심은 딱 두 가지, '나이''소득인정액'입니다.

 

  • 나이 조건: 대한민국 국적의 만 65세 이상 어르신
  • 소득 조건: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

 

나이 조건은 아주 명확하죠?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소득인정액'이 얼마냐는 건데요.

2024년 기준 선정기준액은 아래와 같아요.
2025년 기초연금 기준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금 더 오를 예정이니, 작년에 아깝게 안 되셨다면 꼭 주목하세요!

 

가구 유형 2024년 선정기준액
단독가구 월 213만원
부부가구 월 340.8만원

 

"어? 우리 부부 소득 합치면 350만 원 넘는데...?"
하고 바로 포기하시면 안 됩니다!

우리가 실제로 버는 소득과 재산을
그대로 계산하는 게 아니거든요.


2. 가장 헷갈리는 '소득인정액', 제가 풀어드릴게요!

'소득인정액'이라는 단어 때문에 많이들 어려워하세요.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소득인정액 = ① 월 소득 평가액 + ② 재산을 월 소득으로 바꾼 금액

소득(돈뭉치)과 재산(집 아이콘)이 더해져 하나의 바구니로 들어가는 쉬운 그림



즉, 현재 버는 돈(소득)과
가지고 있는 재산(집, 예금 등)을
소득 기준으로 환산해서 합친 금액이에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바로 '공제'라는 걸 엄청나게 해준다는 겁니다.


3. 내 월급, 연금... 어디까지 소득으로 잡힐까요?

먼저 ①번, 월 소득 평가액부터 볼게요.
여기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국민연금 같은 공적이전소득이 포함돼요.

그런데 근로소득이 있다면, 무려 기본으로 110만원을 공제해 줍니다!
거기에 추가로 30%를 더 빼줘요.

예를 들어, 월 250만원의 근로소득이 있다면?

 

근로소득 공제, 이렇게나 많이?

250만 원 그대로 계산하는 게 아니에요!
(250만 원 - 110만 원) X 0.7 = 월 98만원만 소득으로 잡힙니다.
훨씬 줄어들죠?

 

이것만 봐도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소득이 훨씬 적게 계산된다는 걸 알 수 있죠?


4. 집 있고, 예금 있어도 괜찮아요! (재산 계산법)

다음은 ②번, 재산을 월 소득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이것도 가진 재산을 그대로 계산하지 않아요.

일반재산(건물, 토지, 자동차 등)과 금융재산(예금, 주식 등)에서
각종 공제를 해주고, 빚(부채)도 빼줍니다.

계산기 화면에 '재산 - 공제 - 부채' 공식이 크게 보이는 이미지



가장 중요한 기본재산액 공제부터 볼게요.
사는 지역에 따라 일정 금액을 뭉텅이로 빼줘요.

 

구분 공제 금액
대도시 (서울, 광역시 등) 1억 3,500만원
중소도시 8,500만원
농어촌 7,250만원

 

예를 들어 서울에 5억짜리 아파트가 있고, 은행 대출이 2억 있다면?
5억에서 기본공제 1억 3,500만 원과 부채 2억을 먼저 빼고
남은 금액만 재산으로 계산하는 식이에요.

이렇게 계산된 재산에 연 4%를 곱하고 12개월로 나누면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이 최종적으로 나옵니다.


5. 자, 이제 5분 만에 끝내는 '기초연금 모의계산'!

"아... 그래도 너무 복잡하게 느껴져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최종 해결책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정부가 운영하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을 해보는 거예요.
제가 알려드린 개념을 알고 나면 훨씬 이해가 쉬울 겁니다.

 

 

'복지로' 기초연금 모의계산 페이지 스크린샷



아래 순서대로만 따라 해보세요. 정말 5분도 안 걸려요!

 

✅ 기초연금 모의계산 3단계

  • 포털 사이트에 '복지로' 검색 후 홈페이지 접속
  • 상단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기초연금' 클릭 [아래 그림 참조]
  • 가구유형, 거주지, 소득, 재산 정보 등을 입력하고 '결과보기' 클릭!

 

 

이 모의계산 결과는 실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내가 수급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기에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이것만은 꼭! 기초연금 Q&A (국민연금, 부부 감액)

모의계산까지 마치신 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질문 2가지를 추가로 정리했어요.

 

Q1.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데, 기초연금 또 받을 수 있나요?

네, 물론입니다! 둘 다 받을 수 있어요.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초연금 기준액의 1.5배(약 50만 원)를
넘어가면 기초연금액이 조금 깎일 수 있습니다. (최대 50%까지)

그래도 전액 못 받는 게 아니니 꼭 신청해야 이득이에요.

 

Q2. 부부가 함께 받으면 무조건 2배로 받나요?

아쉽게도 그렇지는 않아요.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게 되면,
각자 산정된 금액에서 20%씩 감액된 금액을 받게 됩니다.
혼자 사는 어르신과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제도라고 해요.

 

예를 들어, 혼자 받으면 월 33만원이지만
부부가 함께 받으면 각각 26만 4천원씩,
총 52만 8천원을 받게 되는 셈이죠.
그래도 정말 큰 도움이 되는 금액이죠?


"혹시나?" 하는 마음이 '월 33만 원'을 만듭니다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죠?
기초연금의 핵심은 '일단 확인해보는 용기'인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부모님 서류 챙겨드리는 게 막막했지만,
막상 해보고 나니 '왜 진작 안 했을까' 싶더라고요.
매달 꼬박꼬박 들어오는 연금이 얼마나 든든한지 모릅니다.

통장에 '기초연금'이 입금된 내역을 보며 흐뭇해하는 노부부의 모습



'나는 안 될 거야'라는 생각은 잠시 접어두세요.
복지로 모의계산 버튼을 누르는 그 1분의 행동이
나의 노후, 우리 부모님의 노후를 바꿀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모의계산 결과, 수급 가능성이 보인다면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할 수 있어요.
미리 신청해야 생일 달부터 바로 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마세요!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 방문: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2025년에는 기초연금 금액과 대상이 더욱 확대될 예정입니다.
오늘 이 글을 읽고 용기를 내신 분들이
한 분이라도 더 든든한 혜택을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정책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신청 및 수급 관련 최종 확인은
보건복지부 및 국민연금공단의 최신 공시를 우선 확인하세요.

#기초연금수급자격 #기초연금모의계산 #기초노령연금 #65세이상연금 #2025년기초연금 #기초연금신청방법 #소득인정액계산법 #국민연금기초연금 #부부기초연금 #기초연금재산기준 #노후준비 #부모님용돈 #복지로 #연금정보 #재테크정보
반응형